00:00[P156] "전이"개념 : 전이는 사람들이 한 가지 상황, 예를 들어, 게임에서 학습한 내용을 새로운 상황, 예를 들어, 일상생활에 적용할 수 있다는 개념이다. 전이를 최초로 연구한 심리학자 중에는 애드워드 손다이크가 있다. 손다이크 주장에 따르면,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을 개발한 경우에 학습자는 새로운 학습 맥락과 기존 학습 맥락 사이에 유사성이 많을 때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을 새로운 맥락에 적용할 수 있을 가능성이 훨씬 크다. 예를들어, 자동차 운전을 배우고 나서 헬리콥터를 조종하려 하거나, 라틴어를 배우고 나서 수학을 배우려 하거나, 휴대전화로 퍼즐을 맞추고 나서 일상생활에서 더 개선된 생각을 하려는 경우다.
00:00[P161] 초콜릿 입힌 브로콜리 : 게임 연구자인 브렌다 로럴은 이런 종류의 게임을 묘사하기 위해 "초콜릿 입힌 브로콜리"라는 생생한 비유를 사용했다. 매스블래스터나 엑스트라매스에서 핵심 활동은 연산 문제를 푸는 것을 끔찍하게 지루해하는 학생들이 많으므로 게임 설계자들은 반복 학습활동에 점수, 별, 경적, 기타 보상을 추가한다. 매우 전통적인 수학 활동이 외부 보상과 인센티브 바로 밑에 숨겨져 있는 것이다. 교수주의 브로콜리 위에 행동주의 초콜릿을 입히는 과정은 자주 '게임화'로 묘사되며 학교에서 폭넓게 실시되고 있다. 게임화는 칸아카데미에서 수여하는 포인트나 배지와 마찬가지로 학습 소프트웨어의 요소다. 교사들은 카웃같은 플랫폼을 활용해 퀴즈나 복습 시간 등 교실에서 전형적으로 실시하는 과정을 교실 게임 쇼로 전환하면서 게임 플랫폼에서 자신만의 콘텐츠를 만들 수 있다.
00:00[P164] 언어 학습 교과과정이 지닌 흥미로운 특징은, 일반적인 강좌의 진도가 진행되는 중간에 학습의 인지적 복잡성이 급증한다는 점이다. 예를들어 스페인어 입문 과정에서 학생들은 '고양이'를 뜻하는 단어를 외우고, '갖다'를 뜻하는 동사를 조합하는 방식을 암기한다. 고급 과정에서는 세르반테스의 작품을 읽고 해석한다. 자동 채점 기능은 고급 과정에서 실시하는 해석 과제보다 입문 과정에서 실시하는 것처럼 정답 있는 과제에 훨씬 유용하다. 그러므로 입문 언어 개념을 학습할 때 듀오링고의 유용성이 좀 더 발전된 언어 습득 기술까지 확장될 가능성은 낮다. 듀오링고에서는 개인이 한 단어나 짧은 구정을 정확하게 정의하거나 번역했는지 여부를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돈키호테>>가 스페인 문학과 문화에 어떤 여향을 미쳤는지를 둘러싼 학생들의 주장은 평가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