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7:29font-size에 들어가는 em은 현재 지정된 font-size의 배수입니다.
*em은 font-size에서 쓰일 땐 상속 받은 font-size를 나타내고 그 외 다른 곳에서 쓰일 땐 현재 요소의 font-size를 나타냅니다.
*보통 현재 지정된 font-size는 부모로부터 상속된 만큼입니다.
*html > body > div > h1
08:29font-size 값보다 요소 높이 값이 항상 조금씩 더 크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09:05lineHeight에는 reading 영역이 항상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높이가 font-size보다 크게 잡히는 것입니다.
*font style마다 leading 영역이 다릅니다.
*leading 영역은 여러 줄의 텍스트를 읽을 때 가독성을 증가시켜주기 위함입니다.
해당 학습노트에서는 react router 버전6에서 redirect를 어떻게 구현하는지 소개합니다.
공식 문서: https://reactrouter.com/
00:50
react router 버전5에서 redirect를 구현하는 방법입니다.
*예상 시나리오: pathname이 '/redirect'인 page 접근 시 pathname '/about'인 page로 전환됨
*특정 pathname에 redirect 로직을 등록하는 이유는 가지각색이겠지만 그 중 대표적인 용도는 로그인 여부 검사입니다.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가 로그인을 했을 경우 특정 pathname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사용하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