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가기
홈으로 이동
LearnFit
공유하기
YouTube, IAAC Lecture Series - Sanjay Sarma - MIT - The Future of Learning
SJPark님의 학습노트

IAAC Lecture Series - Sanjay Sarma - MIT - The Future of Learning

#전체
04:38여기까지 강연자 소개
05:04The Future of Learning 발표시작
05:32교육 시스템의 역사 - 수도원, 이슬람
09:17산업혁명 시대의 교육
12:56세상이 빨리 바뀌니 지식도 따라잡아야 한다. (붉은여왕효과 설명)
13:28자영업자가 늘고 있다. 생계를 위해서 무엇을 배워야 할지 스스로 결정해야 한다.
15:23코로나19가 모든걸 바꿨다
17:32대량 직업 이동(Massive Job Shift) 가 일어난다.
18:2016억명이 교육기관에서 멀어졌다.
18:35Education becomes critical We need to focus on knowledge transfer, not exams
19:06첫번째 직업은 학교(MIT같은)가 도움이 된다. 하지만 두번째 직업은 첫번째 직업에서 받은 평가(Rating) 이 좌우할것이다.
21:10전두엽의 기능을 설명
22:24functional MRI 로 뇌의 어느 부분이 어떤 기능을 담당하는지 알아 냈다는 설멍
24:18교육에 관해 떨쳐 내야 하는 오해가 있다. 교사가 펜으로 학생의 뇌에 지식을 새겨 넣는 다는 것.
26:24실제로 학습이 벌어 지는 것은 학습자가 마음속에 세상의 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구성주의)
28:22두뇌는 10분 지나면 집중을 못한다.
28:38(주의환기를 위해 질문답음) 스킵합시다.
29:55(주의환기를 위한 답변) 여기까지 스킵
30:57마인드는 영감을 받으면 알아서 한다.
31:36배움이 이루어지는 핵심 원칙들 (12개군요)
32:4110분 강의를 계속 하지 않고 잠시 쉬고 문제 풀이를 하는 것으로 단기기억에 있는 걸 장기기억으로 보냅니다.
33:02레슨#1 비디오 길이와 시청시간의 그래프를 봅시다. 비디오가 12분을 넘어가면 시청이 급격히 떨어집니다.
34:26레슨#3 잊어먹고 다시 배우면 훨씬 더 잘 배우게 된다.
35:33레슨#4 Interleaved learning (교차학습)
36:33레슨#6 호기심 - 학습자를 궁금하게 만들고 배울 준비를 하게 만들어야 한다.
37:56레슨 #12 머리로 배우고 손으로 해보면, 더 오래간다.
38:09책 홍보
40:43이것의 교육의 미래다. This is the future of education - 화면에 나오는 구성요소를 하나씩 이해할것! 무엇이 대면으로 가야하고 무엇이 비대면으로 가야 하는지.
42:37This is the new treadmill . Working people will maintain their educational fitness on
44:47Q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요? '무엇을'이 아니고 '어떻게' 입니다. 어떤 도구를 선택해야 할까요? 인터넷에는 가짜 뉴스 같은 것도 많은데 어떻게 골라야 하나요? 함께 배우기는 어떻게 하나요?
47:12A- One 잘게 쪼개세요
47:17A- Two 인터넷에 엄청난 학습자료가 있어요
47:21A- Three 궁금증을 가지세요. Stay foolish 랑 같은 의미인듯
47:31A- four 진실과 거짓을 가릴 수 있는 진실레이더 (Truth Radar) 를 개발하세요. 이것이 21세기에 필요한 기술이에요
01:00:06😵‍💫
✔ 학습 완료
👋 다양한 인사이트를 읽어보고 계신가요?
나만의 학습 기록을 남기고, 관리하고 싶다면!
다양한 전문가의 멤버십 전용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나의 학습 내용을 공유하고, 수익을 올리고 싶다면!
3초 회원가입/로그인으로, 런핏의 커뮤니티에 여러분도 함께하세요.
3초 만에 가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