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06npm test 명령어를 콘솔에 실행하면 'npm run jest'(package.json에 입력했으므로)가 실행되며 프로젝트 내의 test.js로 끝나는 파일들 테스트합니다.
참고1: __tests__ 폴더에 있는 파일들도 자동으로 test 파일로 인식합니다.
참고2: 'npm test 파일명' or 'npm test 경로'로 입력하면 특정 파일이나 경로에 대해서만 테스트 할 수 있습니다.
02:31'1은 1이야' test 코드 작성
expect: 검증할 값 입력
toBe: 기대되는 값 입력
03:22'2 더하기 3은 5야' test 코드 작성
*add함수 활용
설명: fn.add(2,3)이 5가 되는 것을 기대하는 테스트 코드
04:02'3 더하기 3은 5야' test 코드 작성(not 등장)
*실패하는 케이스에 대한 테스트 코드
*Terminal을 확인하면 어떤 테스트가 실패했는지 어떤 값이 기대됐는데 어떤 값이 받아졌는지 확인가능
*expect().not.toBe(): expect가 toBe가 아니면 통과하는 테스트 코드
05:17Matcher 중 하나인 toBe
toBe는 숫자, 문자 값(primitive value)을 비교할 때 사용됩니다.
*더욱 다양한 Matcher가 존재
해당 학습노트에서는 react router 버전6에서 redirect를 어떻게 구현하는지 소개합니다.
공식 문서: https://reactrouter.com/
00:50
react router 버전5에서 redirect를 구현하는 방법입니다.
*예상 시나리오: pathname이 '/redirect'인 page 접근 시 pathname '/about'인 page로 전환됨
*특정 pathname에 redirect 로직을 등록하는 이유는 가지각색이겠지만 그 중 대표적인 용도는 로그인 여부 검사입니다. 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저가 로그인을 했을 경우 특정 pathname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사용하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