뒤로 가기
홈으로 이동
LearnFit
공유하기
YouTube, 기업의 차별화 전략, 당근마켓은 어떻게 성공했을까?
인수님의 학습노트

기업의 차별화 전략, 당근마켓은 어떻게 성공했을까?

#P.O / 기획자
#서비스기획
#스타트업
#마케터
#마케팅
#Marketing
#브랜드
#Brand
#MBA
#강의
#정보
#Trend
#트렌드
#취업
#리서치
#Research
#Data
#당근마켓
#구민정교수
#SKKGSB
#마케팅수업
#유튜브MBA
#브랜드스토리
#차별화전략
#스타트업
#벤처기업
#마케팅 전략
#마케팅 강의
#마케팅 직무
#케이스스터디
#전체
01:05당근마켓의 시스템 – 동네사람들끼리 거래할 수 있도록 ‘위치기반’ 서비스로 운영. 전국에 권역을 분류 후, 최대 반경을 설정.
01:21당근마켓의 정의 – ‘당신 근처의 마켓’의 약자. 이름부터 서비스의 특징을 잘 나타냄.
01:26당근마켓의 수익 구조 – 중고 거래 수수료 X, 전국단위 광고 X, 지역 소상공인들로부터 광고 유치. 즉, 디지털화 된 지역광고 플랫폼이다.
02:34다소 후발주자였던 당근마켓의 성공 비결 첫 번째 – 역발상을 통한 신뢰구축. 기존 중고거래 플랫폼의 치명적 단점은 신뢰. 이 점을 보완하기위해 노력. (권역 제한, 거래수단을 직거래 등) 기술 활용을 통한 신뢰구축. 기존 중고거래 플랫폼은 전문 판매업자들의 도배글이 만연하다. 그래서 일반 판매자들은 뒷페이지로 밀려서 거래가 원활하지 않았음. 그래서 ‘러신머닝’을 적용해서 업자를 알려줄 시스템을 구축. 또한 도배와 사기 행위를 한 판매자를 제재. 즉, 신뢰를 높이게 되었다.
04:57성공 비결 두 번째 – 본질에 대한 집중. 서비스 출시 이후 지금까지 권역을 일정하게 한정시켜서 옴. 반경을 늘려 거래되는 품목을 늘리고 접근성을 강화시킬 수 있었으나 권역을 제한함으로써 ‘동네 마켓’이라는 아이덴티티를 고수. ‘피버팅(사업의 방향을 다른 쪽으로 전환)’ 유혹에 빠지지 않음.
06:43성공 비결 세번째 – Easy & Simple. 당근마켓 특징 중 하나는 60대도 사용한다는 점이다. 앱 구성 자체가 간결하고 서비스가 복잡하지 않아서 높은 나이대도 쉽게 사용 중. 또한 4~50대 소상공인을 타깃으로 광고집행 프로세스도 간단하다.
08:01당근마켓의 미래 비즈니스 모델 – ‘동네생활’이라는 서비스 제공. 동네 주민들끼리 생활 정보 공유의 장 마련. 기존 경쟁자(중고 거래 플랫폼)뿐만 아니라 새로운 유형의 경쟁자(구인구직, 부동산 거래 플랫폼 등)가 발생.
09:04당근마켓의 본보기 사례 – 미국의 ‘Nextdoor’. 주소와 실명 인증을 기반으로 지역 기반 SNS플랫폼. 점점 구인구직, 중고물품 거래 서비스 등 추가.
09:52정리 – 첫 번째, 직거래 컨셉 도입과 기술 활용을 통한 신뢰 제고. 두 번째, 쉽고 간결한 서비스. 세 번째, 본질에 집중하며 흔들리지 않고 서비스를 키운 결단력
✔ 학습 완료

이 학습노트가 포함된 러닝패스예요.

인수님의 다른 노트는 어때요?

인수의 프로필 이미지
인수
의 학습노트

마케팅 근육을 기를 수 있는 착한 습관 3가지

영상 재생 모양 아이콘
Video
⏱ 핵심 스탬프
7
00:34
첫 번째, 케이스 스터디 – 좋은 케이스, 나쁜 케이스에 대해 깊이 공부. 예를 들어 콜라보, 세계관 분석 뿐만 아니라 브랜드를 깊이 공부해야 한다. 3명 정도 판단에 대한 인풋 공부 등 교류 스터디 활용. 한 달에 한 번 정도가 적당하다. 각자가 준비할 것은 이달의 픽 케이스.
01:37
이달의 픽 케이스 – 회사의 연혁과 역사. CEO의 배경도 알아보기(작은 회사, 신생 회사) 지향점, 경험, 철학, 경력 확인. 이에 대한 시장의 반응과 경쟁사의 대응 전파된 케이스, 유사한 케이스 등 두루두루 공부하기
👍
3
스크랩
인수의 프로필 이미지
인수
의 학습노트

(풀자막) 마켓컬리 성공스토리 | 김슬아 대표, 전지현, 마케팅 성공사례, 새벽배송, 샛별배송

영상 재생 모양 아이콘
Video
⏱ 핵심 스탬프
14
01:06
창업 아이디어 - 김슬아 대표는 회사생활 시절부터 ‘푸디’로 통했다. 갑자기 성인 아토피를 겪게 되면서 먹는 것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또한 장을 볼 때 마다 늘 택배로 받다보니 신선식품의 신선함을 걱정을 했던 것. 직장인을 위해서 아침에 택배 도착이라는 샛별배송(새벽배송)이라는 아이디어를 떠올리게 됨.
02:08
더파머스 창업 - 또한 미국에는 유기농 식품만을 판매하는 ‘홀푸드마켓’이 생기면서 소비자의 인식이 전환. 여기서 김슬아 대표는 소비자들이 ‘건강하고 맛있는 음식을 찾도록 하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됨. 그리하여 동호회 중 한 명과 함께 마켓컬리의 전신인 더파머스를 창업. 3년 후 사명을 ‘컬리’로 변경.
👍
1
스크랩
👋 다양한 인사이트를 읽어보고 계신가요?
나만의 학습 기록을 남기고, 관리하고 싶다면!
다양한 전문가의 멤버십 전용 콘텐츠를 보고 싶다면!
나의 학습 내용을 공유하고, 수익을 올리고 싶다면!
3초 회원가입/로그인으로, 런핏의 커뮤니티에 여러분도 함께하세요.
3초 만에 가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