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14일반적으로 토큰은 서로 대체 가능함. 하지만 토큰은 토큰인데 다른것과 대체 불가능한 토큰을 NFT 라고 부름
02:38🧐 NFT: 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능 토큰. 디지털 데이터의 고유성, 소유권 기록 -> 우리가 흔히 거래하는 NFT 임
02:46🧐 트랜잭션: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일어나는 이벤트의 최소 단위를 트랜잭션이라고 부름.
채굴: 트랜잭션이 발생하면 그 내용을 블록으로 생성해 체인에 추가하는 것
02:56🧐 가스피: 채굴자에게 주는 수수료/팁. 이더리움의 가스피는 기위(Gwei) 라는 단위를 사용함
03:30이더리움의 단점: 느린속도, 비싼 가스피. 높은 전력 사용량, 환경오염
업그레이드 진행중 -> 이더리움2.0
03:44이더리움은 스스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이더리움 2.0을 만들고 있음. 이 외에도 이더리움의 단점을 개선한 체인들이 등장하고 있음
* 솔라나. 폴리곤. 테조스. 클레이튼. 테라 등이 있고. 클레이튼은 카카오에서 개발해서 최근 국내 NFT 시장에서 쓰임이 늘어나고 있음
04:29🧐 암호화폐 지갑: 거래소에서 구입한 암호화폐를 실제로 활용하기 위해 별도의 지갑 필요. 암호화폐 거래. NFT 제작 및 구매. 블록체인 서비스 로그인 등에 쓰임
04:52🤩 암호화폐 지갑은 두 가지.
* 핫 월렛: 온라인, 활성화, 소프트웨어
* 콜드월렛: 오프라인, 보관용, 하드웨어
NFT작업을 위해서는 핫월렛을 쓰고 그 중에서도 메타마스크라는 월렛이 많이 사용됨
05:04🧐
* NFT마켓플레이스: NFT를 사고파는 플랫폼
* 민팅(minting): NFT 발행
* 리스팅(listing): NFT 판매등록
* 드랍(drop): 코인이나 NFT 를 공개
* 제네시스드랍(genesis drop): 최초의 드랍
* 에어드랍(air drop): 이벤트목적의 무료 드랍
05:21🧐
* 콜렉터블 NFT: 수집이 목적인 NFT
* PFP(Priflie Picture): 클렉터블 NFT 중 SNS 프사용 프로젝트를 PFP 프로젝트라고 함. 여러 디자인 요소들을 알고리즘을 통해 무작위로 배치하여 다양한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 제작 (제네레이티브 아트)
* 가장 유명한 제네레이티브 PFP 는 클립토펑크, BAYC.
05:50NFT 마켓플레이스 종류
* 누구나 가입 가능 - OpenSea, Rarible, Mintable
* 초대를 받으면 가입 - Foundation
* 심사를 통하면 가입 - SuperRare, Nifty Gateway, KnownOrigin, Makersplace
* 국내 거래소 - Klip Drops, UPbit NFT
06:54* Showtime: 많은 플랫폼의 NFT 를 한눈에 보기 좋게 정리해주는 곳
* OnCyber: 가장 갤러리 제작
* Cryptovoxels: 메타버스 전시공간
* 기타 메타버스: Decentraland, The Sandbox
07:24🧐 기타 코인용어, 은어
* 토크노믹스: 암호화폐로 이루어진 경제 생태계
* DAO: 탈 중앙화 자율조직
* P2E: 게임으로 돈 벌기
* ICO: 코인을 대중에게 공개해 투자를 받기 시작
* 백서: 코인의 취지, 현황, 로드맵이 담긴 문서
* 화이트리스트(화리): NFT 발행시 혜택받는 사람
* OG(Ole Gangster): 참여한지 오래된 진성 멤버
* 디코방: 주요 NFT 커뮤니티 SNS '디스코드'의 준말
노션을 활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방법으로 노션을 사용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금 노션에서 API 를 제공하는지 모르고 있음!! 노션 API 를 활용하여 쉽게 노션에 작성한 데이터베이스, 페이지 등의 정보를 호출할 수 있음. 이런 방법을 활용하면 개발자가 아니어도 DB 에 직접 정보를 넣고 수정하는 작업들을 수월하게 할 수 있음
00:53
노션과 노션 API 를 어떻게 웹 어플리케이션의 어드민 패널과 DB 로 활용하는지 설명할 예정임